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아는 기자,대통령실 출입하는 정치부 조영민 차장 나왔습니다. <br> <br>Q1. 29분이요. 갑작스러운 것인지요? <br><br>겉으로 보면 매우 갑작스러웠는데요. <br> <br>오늘 아침 대통령이 출근했다가 30분 만에 퇴근했고, 그 사이 녹화한 뒤 내보낸 건데요. <br><br>취재해보면 사전에 이런 내용의 담화를 준비했던 것으로 보입니다. <br><br>지난 7일 대통령이 사과와 함께 당과 정부에 일임하겠다는 내용의 담화를 했죠. <br><br>당시에도 오늘 담화 내용을 함께 언급하는 방안을 고민했던 것으로 전해집니다. <br> <br>하지만 향후 로드맵이 정리되지 않았던 상황, 탄핵안이 가결될 가능성이 커지자, 최종 입장을 정한 뒤, 오늘 발표시점을 잡은 걸로 보입니다. <br> <br>Q2. 세 번째 담화는 사실 일임하겠다는 표현도 그렇고 사과도 있었고요. 2선 후퇴 하는 듯이요. 완전히 달라졌어요. <br><br>맞습니다. <br> <br>임기를 포함해 당에 일임한다더니, 한동훈 대표가 제안한 조기 하야 퇴진 제안을 거부하고, 오히려 "2시간짜리 내란이 어딨냐"고 정면돌파를 선언한 모양새죠. <br> <br>대통령실 설명은 당시부터 '일임'이란 단어를 놓고 한동훈 대표와 생각이 달랐다고 합니다. <br><br>대통령은 당이 탄핵을 비롯한 대야공세에 나설 줄 알고 일임한 것이라는 설명입니다. <br><br>Q2-1. 5일 전과 전혀 다른 스탠스에 당황스러운데요. 조기퇴진 생각이 없었던 거에요? <br><br>대통령실 관계자는 이렇게 말했습니다. <br><br>어차피 선택지는 두가지다. <br><br>가만히 앉아서 죽는 것, 그래도 끝까지 싸우면서 반전을 도모하는 것. <br><br>가만히 앉아 죽을 수는 없다는 생각을 하고 있던터에, 한 대표가 조기 퇴진, 그냥 2개월 뒤에 물러나라고 하니 이제는 정면돌파 택할 수밖에 없다는 겁니다.<br><br>Q3. 그래서 하고 싶은 이야기를 다 한 거군요? <br><br>29분 분량의 대통령 담화에서 핵심적인 발언은 크게 3가지 정도 볼 수 있을 텐데요. <br><br>"통치행위였다" "공직자 흔들리지 말라" "마지막까지 싸운다" 이렇게 세가지입니다. <br> <br>Q4. 통치행위였다는 말이요. 결국엔 수사기관의 수사가 진행 중인 이 내란죄 혐의에 대한 답변인 거잖아요? <br><br>오늘 대통령은 명확하게 선을 긋고 나섰습니다. <br> <br>내란이 아니라 대통령의 정당한 통치행위였다. <br><br>헌법기관을 강압에 의해 권한을 행사하지 못하게 했느냐가 내란죄 관건입니다. <br><br>즉 국회와 선관위에 군이 진입한 부분 말이죠. <br><br>대통령이 이 두 부분에 대해서 장시간 할애해 설명한 것도 이를 알기 때문일 겁니다. <br><br>Q5. 선관위는 점검을 하러 갔다고 했어요? <br><br>맞습니다. <br> <br>그동안 문제가 많았던 선관위 전산시스템을 점검하라고 본인이 지시한 것이다. <br><br>또 국회에 군을 보낸 것도, 질서유지 차원이었고, 실무장도 못하게 했고, 국회의원도 다 출입하게 했고, 국회가 계엄 해제 의결하면 애초 병력 철수 계획이었다 이런 취지로 말했습니다.<br><br>결국 법의 테두리 안에서, 대통령의 권한으로 주어진 만큼만 작동시킨 계엄령이라는 겁니다. <br><br>Q6. 그런데 특전사령관은 대통령이 국회의원 끌어내라고 했잖아요. <br><br>오늘 이 부분에 대해서는 대통령 언급이 없었습니다. <br><br>이런 해석도 나오는데요. <br> <br>대통령의 지시를 들었다는 특전사령관, 그런데 당시 통화가 비화폰 그러니까 보안폰으로 이뤄졌다고 했습니다. <br><br>비화폰은 통화 기록은 있지만 녹음은 남지 않습니다. <br><br>물증이 확보될리 만무한 부분에 대해서는 굳이 대응하지 않았다는 해석이 나옵니다. <br><br>Q7. 공무원, 공직자들에게 동요하지 마라, 이건 대통령과 국방부장관이 한 말이다. 이 말 두고 증거인멸이라는 말도 나오더군요. <br><br>대통령 비상계엄 사태에 용산이 가장 애를 먹는 건, 결국 대통령 밑으로 이번일에 연루된 공직자 입에서 나오는 증언들입니다. <br><br>공직자가 직을 걸고 쏟아내는 진술들이 야당의 공격 지점이 되고 있거든요. <br><br>"비상계엄은 오로지 국방장관하고만 논의했다." "공직자는 흔들림 없이 매진하라" 당장 3시간 전에 계엄을 논의했다는 경찰청장 진술과도 배치되는 대목인데요. <br> <br>더 이상 진술하지 마라, 내가 다 책임진다. 일종의 신호로 보는 분위기 입니다. <br><br>Q8. 아까 정면 돌파 얘기도 했지만, 결국 대통령, 싸우겠다는 거잖아요? <br><br>야당을 향해 광란의 칼춤이란 표현까지 등장한 대통령 오늘 담화, 대통령은 끝까지 싸우겠다는 말로 마무리 했습니다. <br><br>아직 돌아서지 않은 지지층에게는 결집의 신호가 될 것이고, 오늘 새로운 원내 친윤지도부를 결성한당을 향한 메시지도 됩니다. <br> <br>뭉쳐서 돌파하자는 메시지요. <br> <br>Q9. 결국 기조는 버틴다로 정한 거군요? <br><br>기조는 확실합니다. <br> <br>탄핵안이 국회를 통과해도, 헌법재판소에 가서 기대치 못한 결론을 맞을지 몰라도, 대통령의 직접 변론, 탄핵심판 생중계, 헌법재판소법 다퉈보기 등 쓸 수 있는 카드 다쓰면서 최대한 버틴다입니다. <br> <br>이재명 대표 대법원 판결까지 버티겠다는 겁니다. <br> <br>Q10. 가능할까요? <br><br>선택지가 많지 않았던 대통령 입장에서는 절박한 선택일지 모르지만, 결국 국민의 지지를 받을 만한 선택이냐가 중요한 것 아니겠습니까? <br> <br>대통령의 선택은 장기간 사회적 혼란과 정치적 갈등을 부추길 수밖에 없는 길입니다.<br><br>군을 동원한 계엄에 대해 사과보다는 불가피했다며 강경 발언을 쏟아냈는데요. <br><br>의총장에서도 듣고 있던 여당 의원들도 고개를 절래절래 젓는 이들이 많았습니다. <br><br>네, 조영민 차장과는 잠시후 이야기 더 나눠보겠습니다.<br /><br /><br />조영민 기자 ym@ichannela.com